🧪 트라이에탄올아민(TEA)이란?
트라이에탄올아민(TEA, Triethanolamine)은 에탄올과 아민기가 결합된 3차 아민이며, 계면활성제, pH 조절제, 유화제로 널리 사용됩니다.
화장품, 세정제, 샴푸, 크림, 로션, 심지어 콘택트렌즈 세척액까지 다양한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매우 흔한 화학 성분입니다.
🔬 화학 구조 및 물리적 성질
- 📌 화학식: C₆H₁₅NO₃
- 📌 분자량: 149.19 g/mol
- 📌 구조: 3개의 에탄올기 –CH₂CH₂OH와 1개의 아민기 –N 결합
- 📌 끓는점: 약 335°C
- 📌 pKa: 약 7.8 (약염기성)
- 📌 수용성: 매우 잘 녹음 (친수성↑)
화학 구조 특징: TEA는 **히드록시기(–OH)**와 **아민기(–NR₃)**를 동시에 가져 양쪽성 화합물의 성격을 나타냅니다. 이 때문에 **pH 조절 + 계면활성 기능**을 동시에 수행합니다.
🧴 주요 용도 및 적용 분야
TEA는 화장품, 산업용 세제, 농약 보조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됩니다.
1️⃣ 화장품 계면활성제
- 세정제 및 샴푸에서 지방산(스테아르산 등)과 반응해 **비누화 유화제**로 작용
- 끈적임 감소, 기포 조절
2️⃣ pH 조절제
- 약산성 또는 약염기성 제품의 pH를 **중성(6~8)으로 맞추는 역할**
- 수용성 + 안정성 때문에 널리 사용
3️⃣ 세제 및 윤활유 첨가제
- 세제에 넣으면 수경계면의 안정성 향상
- 산도 조절로 금속 부식 방지
⚠️ 피부 자극 및 유해성 논란
TEA는 일반적으로 저농도에서는 안전하지만, **고농도 또는 반복 사용** 시 피부 자극과 감작성 유발 가능성이 보고되었습니다.
단기 노출
- 👃 냄새나 기체 흡입 시 코, 눈 자극
- 🧴 피부에 닿을 경우 가벼운 발적, 건조, 가려움증 발생 가능
장기 노출
- 📉 피부 장벽 손상 → 민감성 피부에서 악화
- 🧠 동물실험에서는 간 및 신장에 변화 보고됨
- ☣️ TEA + 질산염 혼합 시 니트로사민(NDEA) 생성 가능성 → 발암 우려
※ 중요한 점: 니트로사민 생성은 특별한 조건이 필요하며, 일반 소비자 제품에서는 매우 희박한 가능성으로 간주됩니다.
🌍 국제 규제 및 안전 기준
국가/기관 | 규제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대한민국 (식약처) | 화장품 내 사용 허용, 단 농도 제한 | 최대 5% 이하 |
EU (SCCS) | 화장품 사용 허용, 니트로사민 억제 조건 포함 | 질산염 불검출 조건 |
미국 (FDA) | 직접 규제 없음, 일반적으로 GRAS 목록 미포함 | 간접규제 가능 |
🔍 유사 성분과 비교 분석
모노에탄올아민(MEA)
- 1개의 에탄올기 + 1차 아민 구조
- 더 강한 염기성 → 피부 자극 ↑
디에탄올아민(DEA)
- 2개의 에탄올기 보유
- 니트로사민 생성 우려로 규제 강화 추세
트라이에탄올아민(TEA)
- 3개의 에탄올기 → pH 안정성 우수
- 대체제 중 가장 피부 자극 낮은 편
➡️ **TEA는 상대적으로 안전하나, 민감성 피부나 장기 사용 시 주의 필요**
✅ 결론 | TEA는 안전한가?
트라이에탄올아민은 화학적으로 **안정적이고 유용한 다목적 성분**입니다. 계면활성제, 유화제, pH 조절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**화장품과 세정제 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성분**입니다.
다만, 고농도·장기 노출 시 피부 자극이나 니트로사민 형성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성분을 확인하고 사용량을 제한하는 소비자 선택이 중요합니다.
✅ 결론적으로 TEA는 과학적으로 검토된 안전한 성분이지만, 피부 타입과 제품 종류에 따라 ‘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핵심’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