🩺 해열진통제, 어떤 차이가 있을까?
해열진통제로 널리 사용되는 이부프로펜(Ibuprofen)과 아세트아미노펜(Acetaminophen, 타이레놀)은 비슷한 증상에 쓰이지만, 작용 기전, 화학 구조, 부작용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.
이 글에서는 두 약물의 화학적 구조, 생리학적 작용, 선택 기준을 과학적으로 비교해 봅니다.
🧪 기본 정보와 용도
항목 | 이부프로펜 | 아세트아미노펜 |
---|---|---|
일반명 | Ibuprofen | Acetaminophen (Paracetamol) |
상품명 | 부루펜, 애드빌 | 타이레놀, 세타펜 |
분류 | NSAID (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) | 비마약성 해열진통제 |
작용 | 진통, 해열, 소염 | 진통, 해열 (소염 효과는 미약) |
🔬 화학 구조 비교
이부프로펜 구조
이부프로펜은 프로피온산 유도체이며,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.
분자식: C₁₃H₁₈O₂
구조 설명:
- 방향족 고리에 알킬기, 카르복시기(-COOH)가 결합
- 소염 효과와 관련된 **COX 억제기능**은 -COOH가 관여
아세트아미노펜 구조
아세트아미노펜(파라세타몰)은 **파라-하이드록시아세트아닐라이드** 구조입니다.
분자식: C₈H₉NO₂
구조 설명:
- 벤젠 고리에 하이드록시기(-OH)와 아미드기(-NHCOCH₃)가 파라 위치에 결합
- 중추신경계에서 작용하는 **해열 중심 작용기**로 해석됨
🧠 작용 기전의 차이
이부프로펜: 말초 중심 작용
이부프로펜은 COX-1, COX-2 효소를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(Prostaglandin)의 생성을 차단합니다.
결과:
- 염증 부위 통증 감소
- 체온 상승 억제 (해열)
- 염증 완화
반응식 개념도:
Arachidonic Acid → [COX 억제] → ↓ Prostaglandin
아세트아미노펜: 중추 중심 작용
정확한 메커니즘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, 중추신경계에서 COX-3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한 프로스타글란딘 억제로 추정됩니다.
- 두통, 근육통, 미열 등에 효과적
- 염증 억제는 거의 없음
따라서: 염증성 통증에는 이부프로펜이, 비염증성 단순 통증·해열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더 효과적입니다.
⚠️ 부작용과 사용 시 주의점
이부프로펜 부작용
- 🔴 위장 장애 (위염, 위궤양)
- 🟠 신장 기능 저하
- ⚠️ 천식 유발 가능성 (아스피린 유사 작용)
아세트아미노펜 부작용
- 🔴 간독성 (고용량 또는 만성 복용 시)
- 🟡 피부 발진, 드물게 쇼크 반응
중요: 아세트아미노펜은 1일 최대 4,000mg을 초과하면 간 손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다른 약물(종합감기약 등)과 중복 사용 금지가 중요합니다.
🧬 대사 과정과 체내 작용 비교
이부프로펜
- 간에서 대사된 후 신장으로 배설
- 대사 효소: CYP2C9
- 지방 친화성 → 복부통증, 속쓰림 유발 가능
아세트아미노펜
- 간에서 주로 대사 → 일부는 NAPQI라는 독성 대사체 생성
- NAPQI는 글루타티온에 의해 해독되지만, 과잉 생성 시 간세포 손상
해독제: N-아세틸시스테인(NAC) → NAPQI 중화
✅ 어떤 상황에 어떤 약을 선택해야 할까?
상황 | 추천 약물 | 이유 |
---|---|---|
고열 | 아세트아미노펜 | 중추성 해열 효과 |
근육통, 생리통, 염증성 통증 | 이부프로펜 | 소염 효과 포함 |
위장 장애 병력 있음 | 아세트아미노펜 | 위 자극 거의 없음 |
간질환 병력 있음 | 이부프로펜 | 간대사 부담 상대적 ↓ |
결론 | 이부프로펜 vs 아세트아미노펜, 올바른 선택 기준
두 약물은 **같은 증상에 사용되지만 완전히 다른 기전과 구조를 가진 약물**입니다.
- 💡 **이부프로펜**: 염증성 통증, 소염 작용 필요 시 효과적
- 💡 **아세트아미노펜**: 위장 부담 줄이고 해열에 집중할 때 적합
약의 효과만큼 중요한 것은 **언제, 어떻게, 어떤 사람에게 사용하느냐**입니다. 자신이나 가족에게 더 적합한 성분을 알고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소비의 첫걸음입니다.